'불교인사이드 최신뉴스' 카테고리의 글 목록 (7 Page)불교인사이드
반응형

 전국 190개 공립박물관 대상 평가인증제 실시




*공립박물관 우수인증기관으로 선정된 양산시립박물관(사진=양산시립박물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 이하 문체부)는 공립박물관 평가인증제에 의거, 2017년 전국 190개 평가 대상 기관(등록 후 3년 경과 공립박물관) 중 123개관을 공립박물관 우수인증기관으로 선정했다. 


  공립박물관 평가인증제는 운영·관리 평가를 통한 공립박물관의 운영 내실화와 대국민 서비스 향상을 위해 2016년 11월,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의 개정으로 도입됐다. 


  문체부는 2017년 1월, 190개 공립박물관을 평가 대상으로 고시하고, 2017년 8월부터 11월까지 ‘경영전략’, ‘경영관리’, ‘사업관리’, ‘고객관리’ 등 4개의 평가 지표를 기준으로 서면조사와 현장평가를 실시한 후에 인증심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우수인증 공립박물관 123개관을 선정했다.


  문체부는 공립박물관 평가인증제를 실시하기 위해 ‘2014년 공립박물관 평가인증 시범평가’를 통해 제도 운영의 기틀을 마련했으며, 2015년부터 2016년까지 평가지표와 운영지침(매뉴얼)을 개발했다. 인증기간은 발표일로부터 2년이며, 향후 2년마다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인증박물관에는 인증서가 발급되고 ‘2017년 우수박물관 인증’을 외부에 공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또한 미인증박물관에는 박물관 운영 컨설팅 등을 통해 대국민 서비스를 향상할 수 있도록 협조할 예정이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에 실시한 공립박물관 평가인증은 단순히 박물관을 등급화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전반적인 공립박물관 서비스의 질을 향상하고 공립박물관의 문화서비스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라고 밝혔다.

반응형
반응형

 대전·세종·충남지역 총 374개소 사지 현황 등 수록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은 불교문화재연구소(소장 제정 스님)와 공동으로 2017년도 폐사지 기초조사사업의 성과를 담은 『한국의 사지–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를 발간했다.


  대전·세종·충남지역은 2014년에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사지를 대상으로 1차 조사를 했던 곳이다. 2017년에는 2014년도에 이어, 국가지정문화재(사적)또는 시·도지정문화재(기념물)로 지정된 보령 성주사지‧논산 개태사지 등 26개소와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 사지 348개소 등 총 374개소를 조사했다. 이 중 아산 신봉리사지2·3, 서산 보현사지 등 20개소의 사지는 기존에 알려져 있지 않았던 곳으로서, 이번 보고서에 처음으로 그 내용을 수록했다.


  이번에 발간된 『한국의 사지–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는 폐사지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수집한 사역(寺域), 유구‧유물 현황, 식생(植生),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좌표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정리하여 수록했다. 또한, 항공사진, 세부사진과 출토 문화재의 사진을 첨부하여 시각적 효과를 살렸으며, 문헌, 학술논문, 일제강점기 자료 등 각종 정보를 망라하여, 개별 사지의 연혁, 역사적 가치 등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했다.


  이번 보고서에는 그동안 위치가 명확하지 않았던 사지들의 정보도 함께 수록하여 학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고, 아울러 2014년과 2017년도의 조사 결과를 반영한 ‘사지 분포현황 지도’를 별책으로 수록하여 사지의 위치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한국의 사지–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는 전국의 지방자치단체, 매장문화재 조사기관, 대학도서관 등 관계기관에 배포할 계획이며, 국민이 쉽게 접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문화재청 누리집(www.cha.go.kr,행정정보-문화재도서-간행물)에도 5일부터 공개할 예정이다.


  폐사지 기초조사사업은 2010년부터 전국에 소재한 폐사지를 대상으로 진행 중이며, 조사 결과는 앞으로 사지와 소재 문화재의 체계적 보존‧관리‧활용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게 된다. 올해는 충청남도·충청북도의 사지 490여개소를 조사할 계획이다.

반응형
불교인사이드 최신뉴스 | Posted by 불교문화전문기자 김종열 2018. 3. 5. 10:25

88 올림픽은 서울을 어떻게 변화 시켰나.

반응형

서울역사박물관

주제별로 서울을 심층·탐구하는 ‘서울기획연구’ 1.2 권 발간 




*88올림픽 개최 준비과정(사진=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은 88서울올림픽 개최 30주년을 맞아 올림픽이 서울의 문화, 경제 사회 전 영역에 미친 영향을  연구한  '서울기획연구2-88 서울올림픽 서울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를 발간했다.


 이 책에는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김정빈 교수가 주축이 돼 찾은 당시 올림픽 준비상황과 관련된 문서와 기록물과 ▴‘한강의 기적’과 올림픽의 무대가 됐던 잠실 일대 개발을 중심으로 한 도시공간 변화 ▴도시경관 만들기 ▴국민소득 증대에 따른 여가문화 및 생활양식 변화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를 담았다.


 서울역사박물관에서는 서울 역사에 대한 시의성 있는 주제를 선정해 심도 있게 살펴보는 ‘서울기획연구’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번 책 발간이 그 첫 결과물이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이와 함께 <서울기획연구 1 - 경강 광나루에서 양화진까지>를 동시 발간했다. 


   <서울기획연구 1 - 경강 광나루에서 양화진까지>는 조선후기 경강(한양에 속한 한강으로 양화진에서 광나루까지를 지칭)을 중심으로 역사지리, 경제, 사회, 민속, 문학, 회화 등을 심도있게 다룬 연구서로, 고동환(KAIST 교수), 이현군(서울대 국토문제연구소 연구원), 유승희(서울시립대 강사), 김태우(경희대 강사), 이종묵(서울대 교수), 윤진영(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이 공동 집필했다. 


 <서울기획연구 1 - 경강 광나루에서 양화진까지>와 <서울기획연구 2 - 88서울올림픽 서울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는 서울시청 내 서울책방(☎739-7033)에서 각각 14,000원,10,000원에 구매할 수 있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반영한 기획전 <88서울올림픽 30주년 기념 특별전>을 오는 7월 서울역사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반응형
불교인사이드 최신뉴스 | Posted by 불교문화전문기자 김종열 2018. 3. 3. 15:58

설악산 권금성 산장을 기억하시나요?

반응형

국립산악박물관 ,설악산 권금성 산장지기 유창서씨 기증자료 전시 



*지난 2009년까지 운영한 설악산 권금성 산장 현판




 국립산악박물관(관장 박종민)에서는 우리나라 산악역사의 올바른 이해와 산악문화에 대한 국민의 이해도를 높이고자, 역사와 문화, 학술적으로 가치 있는 기증유물을 매달 선정하여 전시한다고 밝혔다.


  3월 기증자료 작은 전시는 설악산 권금성 산장지기이었던 산악인 유창서씨가 기증한 옛 권금성 산장의 현판과 당시 사용했던 버너, 코펠, 해머 등을 선정하여 전시한다.


  유창서씨는 동국대학교 산악부 출신으로, 1969년 우리나라 등반사상 최악으로 기록된 한국산악회 해외원정등반훈련대 조난사고, 소위 10동지 조난 사고를 계기로 설악산에 정착한 후 권금성 산장이 폐쇄된 2009년까지 산장지기로 활동하였다. 설악산 산악구조대 초대회장으로 많은 산악구조에도 참여했으며, 이 공로로 국민훈장 석류장을 수상했다.


*10동지 조난 사고: 1969년 2월14일  한국산악회의 제1차 히말라야 원정을 위해 설악산 '죽음의 계곡'일대에서 훈련중이던 10명이 눈사태로 매몰 전원 사망한 사고다. 


  유창서씨가 기증한 버너, 코펠, 해머 등은 1960년대부터 90년대 등산장비의 변천사를 확인한다는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권금성 산장이 당시 설악산을 찾은 사람이라면 한번쯤 찾고 싶었던 명소였던 만큼 옛 정취를 고스란히 간직한 산장 현판은 1900년대 후반의 등산문화를 살펴볼 수 좋은 자료이다.


박종민 관장은 “산악인 유창서씨는 권금성 산장지기로 활동하며 설악산을 지켰을 뿐 아니라, 등반기술 보급과 산악구조 활동에 힘쓴 훌륭한 산악인”이라며 “이번 전시로 유창서씨 개인의 삶을 통해 우리나라 산악역사를 함께 살펴보고, 앞으로 이와 같은 기증이 활발해지길 소망한다”고 밝혔다.

반응형
불교인사이드 최신뉴스 | Posted by 불교문화전문기자 김종열 2018. 3. 3. 12:04

국립수목원 , 가평 옥계구곡 위치 모두 찾다.

반응형

국립수목원, 산림역사 고찰 통해 산림문화자산 확인 



*제5곡인 ‘일사대(一絲臺)’. 깊은 수심과 차가운 수온으로 한 여름에도 서늘하다. ‘가릉군옥계산수기(嘉陵郡玉溪山水記)’에는 낚시를 드리우고 세월을 보낼 만하다. 엄자릉의 청절이 혼탁한 시절을 바로잡은 고사(一絲扶漢鼎)를 비유하여 명명했다.(사진=국립수목원)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산림역사 고찰을 통한 산수문화 발굴 및 활용 연구’ 사업의 일환으로 서울, 경기, 강원도 지역의 구곡과 동천에 대해 조사했다. 이번 조사 결과 항일의병의 사상적 기반을 제공한 화서학파 (구한말 화서 이항로와 사간원 정언을 지낸 유영오를 중심으로 형성된 학파) 유학자 유중교와 김평국, 대한13도의 군도총재를 지낸 의암 유인석(毅庵 柳麟錫; 1842-1915) 등이 가평군 승안천을 따라 1곡에서 9곡까지 경관이 뛰어난 곳을 선정하여 명명한 ‘옥계구곡’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유학자 유중교는 김평묵, 유인석 등과 함께 1876년 가평군 승안천을 따라 1곡 ‘와룡추(?龍湫)’, 2곡 ‘무송암(撫松巖)’, 3곡 ‘탁영뢰(濯纓瀨)’, 4곡 ‘고슬탄(鼓瑟灘)’, 5곡 ‘일사대(一絲臺)’, 6곡 ‘추월담(秋月潭)’, 7곡 ‘청풍협(靑楓峽)’, 8곡 ‘귀유연(龜游淵)’,  9곡 ‘농원계(弄湲溪)’ 등의 위치를 서술하고 ‘가릉군옥계산수기(嘉陵郡玉溪山水記)’라는 시문을 남겼다.


 가평군의 옛 이름은 ‘가릉군’이었으며, 현재는 옥계구곡이나 용추구곡, 또는 용추계곡 등으로 불리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9곡 중 그 장소가 확인되지 않은 곳에 대해 그 위치를 확인하였다. 10여회 이상 현장 조사 후 지역주민과 연인산도립공원 탐방안내원과 동행하여 서술과 일치하는 장소를 찾아내고, 1곡부터 9곡까지 향후 각 곡의 위치 안내에 사용하기 위해 GPS 좌표를 지정하였다.


 산림청은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라 산림 또는 산림과 관련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생태적, 경관적, 정서적으로 보존할 가치가 큰 유무형의 자산을 찾아 국가산림문화자산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단, 산림문화자산 지정 시 「문화재보호법」에 따른 지정문화재, 가지정문화재, 등록문화재, 보호물 또는 보호구역은 제외된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옥계구곡(玉溪九曲)’은 우리 조상들이 마음을 수양하는 장소였으며 화서학파의 항일의병 투쟁 정신의 기반이었던 장소였다.”라고 설명하며, “이번 산림역사 고찰을 통해 9곡의 정확한 위치와 이름을 찾았으니, 문화자산으로서의 가치를 알리겠다.”라고 밝혔다.


  국립수목원은 옥계구곡의 정확한 명칭을 알리기 위해 산림청 국가산림문화자산으로 등록할 예정이다.

  

반응형
불교인사이드 최신뉴스 | Posted by 불교문화전문기자 김종열 2018. 2. 28. 09:08

반구대 암각화 주변 종합적 학술조사 착수

반응형

 국립문화재연구소, 3월 8일 부터 반구대 암각화 주변 학술발굴조사 착수


*2018년 3월 부터 조사 예정인 반구대 암각화 주변(사진=문화재청)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최종덕)는 오는 8일 울주 반구대 암각화 가치와 보존방안 마련을 위해 반구대 암각화 주변의 학술발굴조사 착수식을 열고 본격적인 조사를 시작한다.  


  이번 학술발굴조사는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일대의 종합학술조사를 위해 시행하는 것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책임운영기관으로서 고고분야(물리탐사‧문헌조사‧발굴조사), 자연분야(지질‧지형‧동식물상 등), 안전방재‧보존방안‧융복합연구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진과 함께 발굴조사를 시행한다.


  조사 대상지는 암각화 전망대 주변지역으로, 발굴조사를 통해 하천과 구릉 지역에 걸친 토양 퇴적양상과 암각화와 관련한 유적의 존재 여부를 추가로 확인할 계획이다. 또한, 드론 측량기기 등 첨단 과학 장비를 이용해 하천 등 주변 지형을 상세히 파악하여 더욱 면밀한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조사기법을 동원할 것이다.


  이번 발굴조사와 분야별 조사연구 결과는 내년에 발간될 『울주 반구대 암각화 종합연구보고서』에 수록하여 반구대 암각화의 근본적인 보존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울주 반구대 암각화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오래된 고래사냥의 모습을 비롯하여 수렵과 어로를 위주로 한 당시 한반도의 생활풍속을 알려줄 뿐 아니라 북태평양의 해양어로 문화를 담고 있는 귀중한 선사 시대 문화재이다.


 주변 지역에는 울주 천전리 각석(국보 제147호) 등 관련 유적도 분포하고 있으며, 2013년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암각화 앞쪽 하천 일대에 대해 발굴조사를 한 바 있다. 그 결과, 약 1억 년 전의 백악기 초식공룡 발자국 화석 81점이 확인되어 옛 대곡천의 자연환경을 재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반구대 암각화는 보존 방안으로 상류에 댐을 설치하여 보존하는 방법을 강구하고 시행했으나 확실한 보존 성과에는 못 미쳤다. 반구대 암각화는 선사 시대 한반도 살던 인류의 생활과 자연 환경을 말해주는 타임갭슐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지질, 식생등을 공동으로 연구하는 이번 조사를 통해 반구대 암각화의 보존 방안에 대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반응형